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개발다이어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개발다이어리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개발다이어리

저만의 개발일지를 만들어가는 공간입니다.

Git

  • 개발다이어리
git 반복되는 컨플릭트 해결하기

git 반복되는 컨플릭트 해결하기

2022.10.27
들어가기에 앞서 혼자서 깃을 사용하는거라면 크게 문제될 것이 없겠지만 다른 사람과 협엽을 하는거라면 컨플릭트에 대한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물론 컨플릭트가 발생해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겠지만 이상하리만큼 너무 자주 발생하면 여러 부분에서 마이너스가 될 수 밖에 없다. 깃을 사용하면서 컨플릭트가 나는 이유와 주의해야할 부분들을 살펴보자. 컨플릭트 이유 깃에서 컨플릭트가 나는 이유는 간단하게 말하면 서로 다른 커밋이 같은 내용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깃은 모든 기준을 커밋ID로 판단한다. 내가 작성한 2개의 커밋이라도 이 커밋이 서로 다른 브랜치에서 온 커밋이고 같은 내용을 바라보고 있다면 컨플릭트는 발생할 것이다. 이렇게만 설명하면 음.. 그렇지 라고 생각하고 끝날..
git 현재커밋과 이전커밋 합치기

git 현재커밋과 이전커밋 합치기

2022.10.26
들어가기에 앞서 git을 사용하다보면 의도치 않은 커밋이 생기기 마련이다. 예를 들면 특정 기능을 완료하고 커밋을 했는데 다시 살펴보니 자잘한 오타가 있어서 오타를 수정하는 커밋을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그냥 커밋을 하나 더 생성해도 되겠지만 그렇게하면 커밋내용이 깔끔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오타를 수정하고 커밋을 한 뒤에 바로 직전에 했던 커밋과 합쳐버리는 방법을 사용하면 커밋하나로 깔끔하게 정리 할 수 있다. 원치않은 커밋 합치기 원치않은 커밋을 합치는 방법은 2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git reset git rebase -i git reset reset을 사용하면 가장 최근 커밋의 내용으로 이동한다. 커밋을 하고 아무 수정도 하지 않은 상태라면 최근에 올린 커밋..
git 공부하기(4)_깃허브 연결하기

git 공부하기(4)_깃허브 연결하기

2022.09.05
들어가기에 앞서 깃을 제대로 익히기전에 깃허브를 먼저 사용하게 되면 깃과 깃허브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할수도 있다. 요즘은 IDE도 너무 쉽고 편하게 잘 되있어서 몇번의 클릭으로 깃허브도 쉽게 연결하기 때문에 더더욱 구분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깃과 깃허브는 분명하게 다른 것이다. 코드를 관리해주는 시스템이 깃이고 이 소스를 다른사람과 함께 볼 수 있고 로컬 내장이 아닌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깃허브이다. 깃허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가 사용하고 있는 깃과 깃허브를 연결해서 사용해야한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깃을 깃허브에 연결하기 기존에 git을 사용하고 있었다면 바로 깃허브를 연결하면 되지만 아직 git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면 [https://solidbasics.tistory.com/5..
git 공부하기(3)_브랜치 사용하기

git 공부하기(3)_브랜치 사용하기

2022.09.02
들어가기에 앞서 브랜치는 협업을 하기위한 시작과도 같은 개념이다. 서로의 공간을 나눠서 작업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장치이다. 같은 프로젝트의 코드를 수정하더라도 서로 전혀다른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다. 일종의 평행세계를 만드는 것과 같은 개념이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 다른 사람들이 같은 프로젝트의 코드를 수정하더라도 수정된 코드는 나한테만 보이고 다른사람한테는 보이지 않게 된다. git명령어를 입력하는 작업은 CLI에서 이루어진다. 이것은 명령어를 작성하고 실행시킬때는 편리하지만 전체 내역을 한 눈에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이 시간에는 git의 작업내역을 한 눈에 볼 수있는 툴을 사용해볼려고 한다. git의 작업내역을 GUI로 확인 할 수 있도록 만든 툴이 여러개 있는데 그 중에서도 Sourcetre..
git 공부하기(2)_기본 사용방법

git 공부하기(2)_기본 사용방법

2022.09.02
들어가기에 앞서 우선 명확히 해야할 것이 있다. 이제는 개발할 때 git이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중 하나로 작용하고있지만 제대로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단적인 예로 git과 github를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확실하게 말하자면 둘은 전혀 다른 존재이다. git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쌓는 것은 로컬에만 저장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로컬에서 내가 만든 프로젝트와 같은 폴더에 .git이라는 것이 생성되고 이 안에 기록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git이 삭제된다면 그 동안 저장한 git의 내용이 모두 사라지게 될 것이다. github는 이런 git의 내용을 원격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페이지이다. 로컬에만 저장되있던 것을 github라는 공간에 저장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git 공부하기(1)_설치 및 설정

git 공부하기(1)_설치 및 설정

2022.09.02
들어가기에 앞서 git을 처음 설치하는 방법은 window와 mac이 조금 다르다. window는 사이트에 들어가서 git을 받은 후 설치하면 되지만 mac은 터미널의 brew를 이용해서 설치해야 한다. git 설치 https://git-scm.com/downloads 페이지에 들어가서 다운받으면 된다. 받고 설치하는건 충분히 할 수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git 설정 git을 설치했다면 내가 올릴 git의 username과 email을 등록해야 한다. 윈도우 : git bash 맥 : 터미널 을 이용해서 작업하면 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config는 설정을 한다는 의미이고, --glo..
.gitignore에 등록했는데 동록이 안될 때

.gitignore에 등록했는데 동록이 안될 때

2022.06.29
들어가기에 앞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공개되면 안되는 파일은 .gitignore에 등록해서 git에 등록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가끔 .gitignore에 올렸는데 git에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캐시 때문이다. 해결방법 git rm -r --cached [파일명] 을 입력해주면 된다.
Git-flow를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

Git-flow를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

2022.06.23
들어가기에 앞서 이제는 정말 많은 개발자들이 git을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관리한다. 협업에서도 그렇고 토이 프로젝트를 만들 때도 git은 이제 절대 떨어질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그리고 이 git을 활용한 다양한 협업방법중 하나인 git-flow가 있다. git-flow의 단점들을 보안하기 위한 github-flow나 gitlab-flow등도 있지만 여기서는 git-flow만 알아보도록 하자. 이건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git을 branch로 나눠서 사용하고 merge해보는 등의 적극적인 활동을 해보지 않고는 git-flow에 대해서 이해해보기 힘들 수도 있다. 또한 커밋이나 병합등의 작업으로 가지가 뻗어나오는 것을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들도 이해하기 힘들 수도 있다. 먼저 git에 대해 어느정도 이해하고..
  • 최신
    • 1
  • 다음

정보

개발다이어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개발다이어리

  • 개발다이어리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홈
  • Github
  • 방명록

나의 외부 링크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66)
    • Spring (19)
      • MVC (7)
      • Boot (3)
      • Core (8)
      • Security (1)
    • Java (1)
    • 네트워크 (7)
    • JPA (6)
    • IntelliJ (2)
    • Database (1)
      • h2 (1)
      • postgreSQL (0)
    • 토이 프로젝트 (5)
      • 여행일지작성 (5)
    • 에러모음 (7)
    • 테스트코드 (2)
    • Git (8)
    • Nginx (2)
    • AWS (1)
    • 책 리뷰 (1)
    • Kotlin (2)
    • 회고 (1)
      • 24년도 회고 (1)
    • API문서 (0)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태그

  • http 헤더
  • JPA
  • HTTP
  • 테스트코드 실행안됨
  • 단방향 매핑
  • 연관관계 매핑
  • HTTP상태코드
  • 네트워크 #TCP #IP #인터넷 통신

정보

ssung의 개발다이어리

개발다이어리

ssung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ssung.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